쉽게 알아보는 브렉시트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브렉시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브렉시트가 무엇인지, 장단점,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아요.
1. 브렉시트란?
브렉시트는 'Britain'(영국)과 'Exit'(탈퇴)의 합성어로,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이 개념은 2016년 6월 영국에서 진행된 국민투표에서 약 52%의 찬성을 받아 결정되었습니다.
2. 브렉시트 찬성 이유
4-1) 주권 회복
많은 찬성자들이 EU 법규가 영국의 주권에 침해를 가한다고 느꼈습니다. 즉,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자신들이 국가와 지역 사회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4-2) 이민 관리
EU 회원국 간에는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므로, 일부 영국인들은 이것이 불필요한 이민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공공 서비스에 부담이 가해진다고 느꼈습니다. 브렉시트를 통해 이민 정책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입장이었습니다.
4-3) 경제적 이유
일부 찬성자들은 EU 회비가 너무 비싸다고 느꼈으며, 이 돈은 영국 내 공공 서비스에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EU를 벗어나면 영국이 자유롭게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자신들만의 경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습니다.
4-4) 법률과 규정
EU는 회원국에게 많은 법률과 규정을 부과합니다. 일부 영국인들은 이런 규정들이 불필요하게 엄격하다고 느꼈으며, 이에 따르는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3. 브렉시트가 영국에게 준 영향
3-1) 무역
영국이 EU를 떠나면서 EU와의 무역 관계는 크게 바뀌었습니다. 무역 협정이 재조정되면서 일부 산업에서는 수출이 어려워졌고, 특히 식품 및 농산물 산업은 무역 장벽으로 인해 많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는, 영국이 자체 무역 협정을 맺을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이 가능해졌습니다.
3-2) 이주
EU에서의 자유로운 이동 권리가 사라지면서, 영국은 이제 자체 이민 정책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산업에서는 노동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저임금 노동자가 많이 필요한 서비스 산업이 이 변화를 가장 크게 체감하고 있습니다.
3-3) 투자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은 일부 기업들로 하여금 영국에서의 투자를 미루거나 취소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는 특히 금융 산업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금융 기관들이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영국에서 EU로 본사를 이전했습니다.
3-4) 경제 성장
브렉시트는 영국의 경제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불확실성과 함께 무역, 투자, 노동력 공급 등 여러 요인들이 경제 성장을 둔화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4. 브렉시트 이후 현재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 절감으로 트럭 운전자 수가 급감한 탓에 물류 운송 대란이 발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영국과 EU국가 간의 택배 배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서비스업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큰 폭의 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11.1%를 기록했고, 11월에도 10.7%로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물가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대폭 인상했어도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고 있습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에는 EU 탈퇴를 후회하는 '브레그렛(Bregret, Brexit + Regret)'이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런던에서는 EU로 돌아가자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5. 마무리
브렉시트는 영국과 EU, 그리고 전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 영향력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경제학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 경제와 지식재산의 상관관계 알아보자! (2) | 2023.10.31 |
---|---|
경제학 배우기: "실물화폐"와 "명목화폐"로 이해하는 화폐의 가치 (1) | 2023.10.30 |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 용어 : "소비자동향지수"가 의미하는 것 (0) | 2023.10.23 |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 용어, "뱅크런"이 의미하는 것 (0) | 2023.10.22 |
EU 재정 정책 파헤치기: "마스트리히트 조약"에서 배울 점은?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