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측정을 위한 BSC, KPI
안녕하세요, 오늘은 IT 용어 중 성과측정을 위한 용어, 'BSC(Balanced Scorecard)'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BSC란?
'BSC(Balanced Scorecard)'는 균형점수카드라는 뜻으로, 기업의 전략을 구체적인 실행 계획으로 전환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관리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장기적인 목표와 전략, 그리고 단기적인 성과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2. BSC의 포인트
BSC는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네 가지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합니다.
2-1) 재무 관점
기업이 주주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측정합니다. 이익률, 주가, 매출 등 재무적인 성과를 측정합니다.
2-2) 고객 관점
기업이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측정합니다. 고객 만족도, 리피트 구매율, 고객 유지율 등을 측정합니다.
2-3) 내부 프로세스 관점
기업의 내부 업무 프로세스가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측정합니다. 생산성, 품질, 리드타임 등을 측정합니다.
2-4) 학습과 성장 관점
기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학습과 혁신 능력을 측정합니다. 직원 만족도, 직원의 기술 향상, 조직 문화 등을 측정합니다.
BSC는 단순히 재무적 성과만을 측정하는 기존의 성과 관리 시스템과 달리, 기업의 다양한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전반적인 기업 성과를 관리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3. KPI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란 '핵심 성과 지표'라는 뜻으로, 기업이나 조직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를 의미합니다. 즉, KPI는 기업이나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잘 진행되고 있는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4. KPI의 포인트
예를 들어, 한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월간 판매량, 방문자 수, 재방문율 등을 KPI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한 KPI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을 수집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KPI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4-1) 목표
특정 목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여야 합니다.
4-2) 측정
측정 가능한 지표여야 합니다. 즉, 숫자나 비율 등으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합니다.
4-3) 행동
행동을 유도해야 합니다. 즉, KPI를 통해 어떤 행동을 취할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둘의 차이점
'BSC'와 'KPI', 모두 조직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두 도구는 사용 목적과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BSC'는 조직의 전략을 실행 계획으로 전환하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BSC'는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네 가지 관점에서의 조직과 성장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단기적인 성장과 장기적인 전략을 연결시키고, 조직 전체의 성과를 균형 있게 관리합니다.
반면에, 'KPI'는 조직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KPI'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가 얼마나 잘 달성되고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개선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거나 수정합니다.
요약하자면, 'BSC'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 관리 도구이며, 'KPI'는 조직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 측정 지표입니다. 두 도구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함께 사용되어 조직의 성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이제 'BSC'와 'KPI'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떤 차이인지 이해하셨을 것입니다. 앞으로 IT를 공부하시는데 있어 'BSC'와 'KPI'가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IT지식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쉽게 이해하기 : 프로젝트 세분화 관리 용어 "WBS" 알아보기! (0) | 2023.11.14 |
---|---|
IT 용어 쉽게 이해하기 : 성숙도 수준 평가 "CMMI" 이해하기! (0) | 2023.11.13 |
IT 용어 쉽게 배우기 : 비즈니스 전략적 협업, "아웃소싱" 알아보기! (0) | 2023.11.12 |
"RTO"와 "RPO": 데이터 복구 목표 용어 이해하기! (0) | 2023.11.11 |
"BCP"란? 업무 연속성 관리의 중요성과 BCP의 역할 쉽게 알아보기! (0) | 2023.11.10 |